Untitled

“리얼클래스는 저에게 정복의 대상이라고 생각해요 “

리얼클래스 프로덕트실을 이끌며,

다양한 분야의 경험 끝에 퀄슨에서 또 다른 도전을 하고 계신 재상님을 소개해드립니다!

Q) 안녕하세요 재상님,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2008년부터 개발을 시작해 과거 보안연구원, 금융개발자의 커리어를 거쳐서 현재는 퀄슨의 개발조직 프로덕트실의 리더를 맡고 있습니다.

금융개발연구원으로 시작한 저의 개발경력은, 차세대금융 프로젝트 런칭으로 시작하였고, 그 후에 전파연구소 내 보안연구원으로서 핸드폰 원격 백업, 보안을 담당하며 다양한 가설을 세우고 결과를 만들어내는 경력을 쌓았습니다. 이후 국방부에서 스마트폰 보안연구원으로 모바일과 인프라적으로 어떻게 안전한 인터넷 환경을 쓸 수 있을지 수행하며 제 경력을 쌓아왔습니다.

저는 이직을 함에 있어, 앞으로의 개발 커리어에서 나만이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고민하며 나만의 강점을 만들어야겠다 라는 생각으로 해왔습니다. 그 당시 보안연구원으로서 그 이상의 커리어 적인 성장에 대해 고민하던 찰나, 에듀테크 계에서 ‘영어를 혁신한다’ 비전을 가진 퀄슨을 만나게 되었고, 다른 시장에서 새로운 도전을 하고 싶었던 마음과 다양하게 쌓아온 제 개발 경험을 모두 녹여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자신감과 함께 퀄슨에 조인하게 되었습니다.

Q) 다양한 분야에서 경력을 쌓으시고 퀄슨에서 새로운 도전을 하고 계신 것 같아요. 리얼클래스는 재상님께 어떤 의미일까요?

리얼클래스’는 저에게 정복의 대상이라고 생각해요.

리얼클래스는 기존 여러 라인업의 사상이 모두 녹아있는 프로덕트입니다. ‘학습자의 영어 실력을 혁신한다’라는 비전하에 기존 프로덕트들이 합쳐진 것이기 때문에 여러 생각이 들게 하는 프로덕트이죠. 그래서 저에게 있어 리얼클래스는 프로덕트의 가치를 더 향상해야 한다는 목표를 항상 갖게 해주는 프로덕트입니다.

Q) 리얼클래스의 ‘가치를 더 향상한다’는 목표를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퀄슨 개발 조직의 기술적 요소를 넣어서 학습자들의 영어학습에 도움이 되는 것입니다. 학습자가 장기적으로 리얼클래스를 활용했을 때 영어 실력이 어떻게 얼마만큼 향상했는가를 단순한 토익 점수가 아닌 실제 영어 실력의 향상됨을 진단하는 것이에요.

리얼클래스 내에서 기술을 안정적으로, 편리하게 풀어내고, 기술적 혁신을 이뤄내는 것이죠.

Untitled

개발 중심으로 리드할 수 있는 문화 속에서 사용자를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일하고 있습니다.’

재상님이 이끄는 퀄슨의 프로덕트실은 어떤 업무를, 어떻게 하고 있을까요?

Q) 현재 퀄슨의 개발조직 은 리얼클래스의 어떤 부분에 집중하고 계시는가요?

이 전에는 여러 라인업을 잘 합쳐서 안정적인 운영에 집중했다면 현재는 **신규 사용자가 어떻게 하면 잘 올 수 있는지, 기존 사용자가 얼마나 더 오래 머무는지 (retention)**에 집중하고 있어요. 지금 이용 중인 학습자들이 어떻게 리얼클래스를 꾸준히 해나갈 수 있을지를 끊임없이 고민하고 있죠.

특히 리얼클래스 챌린지를 통해 학습자가 다른 학습자들과 학습량을 비교하며 확인할 수 있어 학습자들이 다 함께 영어 공부를 같이하고 있다는 느낌을 구현하고 있어요.

FE 팀은 사용자들을 위한 실질적인 비주얼 기반에 집중하여 학습자와 마주하는 화면에서 기획자의 기획 의도, 디자이너의 초안을 개발로 잘 풀어내기 위해 항상 고민하고 있고, BE 팀은 DB 서버에 누적된 요청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누적하고, 어떻게 하면 FE 팀 요청에 맞춰 잘 가공된 데이터를 전달할지에 대해 설계와 안정화, 그리고 효율화에 집중하고 있어요.

Q) 퀄슨의 개발조직이 어떻게 업무를 하시는지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퀄슨은 개발 중심으로 리드할 수 있는 문화가 잘 형성되었다는 게 큰 강점이에요. 예로 들어 우리 개발팀의 구성, 개발자들의 리소스 등을 봤을 때 이 정도 일정까지 가능하다고 개발 조직에서 먼저 제안할 수 있고 협의하고 조율해 나가고 있어요.

물론 이 문화가 자리를 잡기 위해서 개발팀에서는 항상 개발 일정을 준수하려 노력하고, 다양한 어려움을 겪고 이를 해결하면서 많은 산을 함께 넘어왔기 때문에 정착할 수 있었던 문화라고 생각합니다. 과거에는 비즈니스의 목적을 위해 빠르게 런칭 하고 기능 개발이 우선순위가 되어 실질적인 개발자들의 개발 일정과 조율이 필요했고 이에 대한 어려움과 시행착오를 겪었기 때문에 현재의 문화가 정착할 수 있게 된 기반이 되었다고 생각해요.

이제는 프로덕트 측면에서 사용자를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있어요. 사용자가 더 빠른 기능 개발이 필요하다고 한다면 일정을 앞당겨서 할 수 있는 문화, 빠른 런칭을 했을 때 고객에게 어떤 득과 실이 될까 를 항상 사용자의 입장에서 고민하고 연구하는 중입니다.